양송화 한국식자재유통협회 협회장이 23일 서울 서초구 한국식자재유통협회 사무실에서 뉴스1과 인터뷰 전 포즈를 취하고 있다. 2024.10.23/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서울=뉴스1) 이형진 기자 = 양송화 한국식자재유통협회 협회장은 23일 서울 서초구 식자재유통협회 사무실에서 뉴스1과 인터뷰에서 안타까운 표정으로 이같이 말했다.
식자재유통협회는 식자재유통과 연관 사업을 진행하는 기업을 회원사로 설립된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농림축산식품부 산하의 사단법인이다. 식자재 유통이란 급식이나 외식 식당에 필요한 식재료나 물품을 제공하는 산업이다.
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식자재 유통시장 규모는 약 62조 원으로 연평균 4.7%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생산에서는 우수농산물인증제도(GAP),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인증 등을 거치고,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과정에서도 식약처의 위생규제 등을 받는 것과 달리 유통 과정에서는 별다른 인증 제도가 없다.
양 협회장은 "과거에는 전통 시장에서 중소 유통 업체들이 알음알음 사입해서 갖다주던 것이 2000년도에 집단 급식이 활성화하고, 식자재 공급의 안전성과 규모화가 필요해졌다"며 "이후 기업형 식자재 유통회사들이 들어왔고, 현재는 전체 시장의 약 15% 정도가 기업형 업체들"이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구조 탓에 식자재 유통시장의 선진화 속도는 더디기만 하다. 식자재 유통의 안전 관리, 선진화 및 효율화 등을 위해선 비용 투자가 이뤄져야 하지만, 중간 단계의 중소 유통기업의 경우는 이런 접근이 쉽지 않아 여전히 낙후돼 있다는 것이다.
그는 "농산물도 표준화가 안 되어 있다. 최근 글로벌 기후 위기로 작황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데, 지금의 10단계가 넘는 유통 구조에서는 획기적인 농산물 가격 인하 등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양송화 한국식자재유통협회 협회장이 23일 서울 서초구 한국식자재유통협회 사무실에서 뉴스1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24.10.23/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양 협회장은 제도적 개선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협회는 최근 식자재유통 안전 인증인 GLC 프로그램을 개발해 이에 대한 확대를 노력하고 있다. 6개의 주요 평가 기준·관점에 총 176개 항목으로 평가를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그는 "중소 유통업체들은 안전 관리 인증 등에 이해가 어렵다"며 "이런 분들도 사업을 할 수 있게 정부에서 지원하고, 산업이 발전하려면 관련 법과 제도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협회는 오는 12월 식자재 유통 산업 진흥에 관한 입법 토론회를 국회서 진행할 예정이다.
양 협회장은 "식자재 유통산업의 안전관리 수준을 견인해 혜택을 국가와 국민에게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며 "식자재 유통이란 고객과 직접 소통하면서 수급 밸런스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관련 제도는) 유통산업의 경부 고속도로를 만드는 느낌으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